떡볶이란 무엇인가 - 떡볶이의 개요 , 역사
떡과 각종 재료를 볶거나 끓이는 방식으로 요리해 먹는 우리나라 요리의 한 종류입니다. 이름은 떡을 볶았다는 뜻의
"떡볶이" 이지만 현재 일반적으로는 국물에 끓이고 졸여서 먹는것이 정석이 되었고 이는 탕과 조림의 중간 정도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떡볶이의 기록은 "승정원일기" 에 남아있는 기록에서 찾아볼수 있습니다.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가 오병을 좋아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데 오병은 " 떡을 기름에 볶아 만든 음식 " 이라고 합니다. 현대의 떡볶이와는 다를 것으로 추측되지만 일부 사전에서는 아예 뜻 표기를 떡볶이로 하기도 합니다.
조선 말기에 들어서는 오늘날에도 많이 먹는 "궁중떡볶이"의 형태가 등장하는데, 조선의 요리책인 규곤요람에서 해당 내용을 찾아볼수 있습니다. 간장을 베이스로 하여 고기 , 채소 , 볶은 떡을 버무려 먹는 요리라고 기록 되어있습니다. 당시 시대를 생각해 봤을때 나름 고급 요리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추장 떡볶이의 보편화
떡볶이의 맛을 좌우하는 것은 베이스가 되는 양념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보편적으로 고추장 혹은 고추장양념을 사용하고 있고 그 외에 많은 소스들이 개발되어 간장을 이용한 간장떡볶이,크림소스등을 이용한 떡볶이나 다소 호불호가 심할수 있는 짜장,카레 떡볶이들도 존재 합니다.
현재 가장 대중적인 고추장 기반의 매콤한 떡볶이는 강점기 해방 이후부터 보편화 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매콤한 떡볶이를 최초로 고안한건 1950년대 신당동 떡볶이의 마복림 할머님 이라고 합니다. 그 당시 인터뷰에 의하면 어느날 중국집에서 양념이 베인 떡요리를 대접받았었는데 거기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게 되셨다고 합니다.
이렇게 마복림 할머니에 의해 자리를 잡아가던 떡볶이는 MBC TV 프로그램 " 여성살롱 " 방송에 노출되면서 전국으로 퍼지게 되었고, 간단한 조리법으로 인해 각지의 분식점에 단골 메뉴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합니다.
오늘날의 떡볶이
꼬챙이에 떡을 끼워먹는 떡꼬치부터 라면사리가 들어간 라볶이, 거대한 떡을 꼬챙이에 끼워먹는 물떡 등등.. 현대에 이르러서는 정말 다양하고 많은 종류의 떡볶이가 탄생하였습니다. 또한 서민 간식이였던 떡볶이가 여러 레시피의 개량을 거쳐서 한끼 식사가 되기도 하고, 술안주로 먹기도 합니다.
프랜차이즈도 정말 많이 생겨났는데, 아딸,죠스떡볶이,국대떡볶이 등이 대표적입니다. 떡볶이 프랜차이즈는 2010년대를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최근 들어서는 국민 음식이 되어버린 치킨과 함께 떡볶이를 판매하는 믹스 업체들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기는 매콤달콤한 맛에 속이 든든한 떡이 가득 들어있다는 점, 레시피가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만들수 있다는 점 어릴적부터 접해와서 익숙하다는 점 등 장점이 많아 앞으로도 지속될것으로 보입니다.
1950년대 서민간식으로 시작했던 떡볶이는 , 한국 쌀 가공 협회 산하의 "떡볶이연구소" 등의 전문 기관도 생겨났고 정부에서도 "한식의 세계화"를 목적으로 떡 색상 모양 등을 개량하고 있습니다.
쌀이 주식인 아시아권 국가에서는 떡볶이가 괜찮은 인기를 얻고 있는 편이지만, 떡이 익숙하지 않은 서구권에서는 난생 처음 느껴보는 질기고 탄탄한 식감에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편입니다. 최근에는 BTS의 인기에 힘입어 도전해보는 외국인들이 많이 보이는것 같습니다.